2019. 9. 6. 19:13ㆍ식물/야생초본류
한번씩 숲을 찾아 푸른 나무들을 보며 새 소리를 듣고 계곡의 물 소리를 들어야 정신과 몸이 깨끗해지는 것 같아 살 것 같습니다. 천마산은 살아 있는 야생의 천국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산물통이는 꽃자루가 길어요.
물통이 종에는 산물통이, 모시물통이,큰물통이,작은물통이가 있어요.
덩굴닭의장풀 - 수술에 노란 털이 많아요.
허니가이드가 있습니다.
수까치깨는 포가 뒤로 젖혀지고, 노란 꽃 수술에 빨간 점이 있어요.
그리고 털이 많아요.
수까치깨, 암까치깨, 까치깨가 있는데 암까치깨는 빨간점이 없습니다.
* 생물 이름에 붙는 까치는 ' ~를 닮음' 또는 '~이전'이란 의미가 있어요.
주름조개풀 - 잎이 조개처럼 생겼습니다.
비슷한 개솔새는 가락이 두 개이며 습도를 이용하여 가락이 나사처럼 풀어졌다 조여짐을 반복하여 씨를 땅에 박아 넣습니다. 습도를 이용하여 발아를 하게 됩니다.
미국가막살 - 줄기가 갈색이며 잎자루가 길어요.
토종 가막살은 줄기가 초록색이며 잎자루가 짧습니다.
개기장 - 이삭이 고개를 숙이며 소담스럽니다.
미국개기장은 이삭이 고개를 숙이지 않으며 억세고 뻣뻣해요.
꽃차례가 엉성하면 '장대여뀌'입니다.
*민들레아과는 자르면 즙이 나옵니다.
식용이 가능하며 토끼가 좋아합니다.
꽃잎의수는 곧 꽃의 수와 같습니다.(186개 ~ 200개)
민들레의 꽃말은 "가정의 행복"입니다.
토종 민들레는 자가수분을 하지 못하며, 토종 민들레의 꽃가루하고만 수정을 해요.
서양민들레는 자가수분을 하며 토종 민들레나 서양 민들레의 꽃가루와도 수정을 합니다.
* 대개 식물은 잘라서 흰 즙이 나오면 먹을수 있지만, 노란 즙이 나오면 먹지 못합니다.
두더지굴 : 봄 - 둥지로 사용하고
여름 - 휴식처로 사용합니다.
겨울 - 먹이 저장고로 사용해요.
'식물 > 야생초본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비 오는 안동에서 만난 9월의 풀꽃 (0) | 2019.09.06 |
---|---|
천마산 가을 들풀 - 후 (0) | 2019.09.06 |
박물관에서 만난 꽃 (0) | 2019.09.05 |
축령산 가을 들풀 (0) | 2019.09.05 |
대암산 용늪 생태 탐방 -2 (0) | 2019.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