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로의 아름다운 나무 낙우송과 비술나무

2019. 9. 5. 20:57식물/야생목본류

 

탑골공원내의 낙우송

 

 

 

탑골공원(우리나라 근대 공원 1호) 내에 있는 150년 된 낙우송, 잎이 새의 날개처럼 떨어진다고해서 낙우송이라고 한다.

 

낙우송        :     낙우송과였으나 측백나무과로 바뀌었다

                      1920년대 수입

                      잎이 어긋난다

                      미국에서 들어왔다.

                      일본인들이 삼나무로 번역하였으며  우리나라로 들어오면서 낙우송으로 이름 지어졌다.

 

메타세콰이어  :   낙우송과였으나 측백나무과로 바뀌었다.

                       1950년대 수입

                       잎이 마주 난다.

                       중국이 원산지이나 메타세과이어라는 미국인이 발견하여 메타세콰이어로 불려진다.

 

탑골공원의 손병희선생 동상 이전에는 이승만 대통령의 동상이 있었다.

 

잎이 없는 나무 : 나모 

 

 

 

낙우송의 기근(숨 구멍)으로써 물 속에 있어야하는 뿌리가 숨을 쉬기 위해 기근을 땅 위로 만들었다.

 

 

 

산뽕나무

 

 

 

산뽕나무

 

 

 

산뽕나무잎

 

 

 

백당나무

 

 

 

백당나무꽃

 

 

 

비술나무

 

 

 

비술나무 수피

 

 

 

비술나무

 

 

 

비술나무 열매

 

 

 

느릅나무와 비술나무 참느릅나무의 비교

 

 

 

회화나무 

 

 


중국 주나라 때 조정에 심어진 세 그루 회화나무 아래서 삼정승이 나랏일 보았다고 해서 회화나무를 학자수라 부름.

꽃은 노랗게 물들이는 염료로 부적에 활용되기도 했다. 열매는 염주모양의 긴 타원형.

협과.

 

 

 

 

 

 

회화나무

- 조선시대에는 귀한 나무라고 하여 양반가와 사찰 서원에서 심었다.

- 4백년 된 회화나무가 담배 매연과 콘크리트, 높은 빌딩 사이에서 죽어가고 있다.

 

 

 

 

독특한 수피의 모과나무 - 나무에 참외같은 열매가 열린다고해서 목화나무라고도 한다.

 

 

 

층층나무

 

 

 

층층나무

 

 

경인미술관 (박영효의 집이었으나 남산 한옥마으로 옮김) 의 층층나무

 

 

 

 

당느릅나무

 

 

 

당느릅나무

 

 

 

황금중산국수나무(운현궁 앞 도로가)

 

 

 

황금중산국수나무(운현궁 앞 도로가)

 

 

 

황금중산국수나무(운현궁 앞 도로가)

 

 

 

황금중산국수나무(운현궁 앞 도로가)

 

 

 

황금중산국수나무(운현궁 앞 도로가)

 

 

 

운현궁의 느티나무

 

 

 

운현궁

'식물 > 야생목본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래 된 나무에게는 경외심이 생겨요.  (0) 2019.09.19
나무가 아파요  (0) 2019.09.05
대추나무  (0) 2019.09.03
도토리의 발아 모습  (0) 2019.09.03
작살나무 열매, 흰좀작살나무 열매  (0) 2019.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