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광교산의 들풀

2019. 9. 17. 21:52식물/야생초본류

 

바보여뀌

 

 

바보여뀌

여뀌는 모두 매운맛을 가지고 있습니다.
바보여뀌는 맵지 않아 바보 같다고해서 바보여뀌라고 합니다.
꽃도 듬성듬성 핍니다.

 

 

 

 

이삭여뀌    

 

 

이삭여뀌
꽃차례가 벼 이삭과 같다고해서 이삭여뀌라고 합니다.

 

 

 

개여뀌

 

 

 

쥐꼬리새

 

 

 

바랭이

 

 

 

바랭이

 

 

  바랭이는 씨앗에 까끌이 있어요.
  바랭이새는 씨앗에 까끌이 없습니다.
  까끌의 역활은 무엇일까요?
  씨앗이 땅에 떨어지면 까끌을 중심으로 씨앗이 땅에 서게 됩니다.
  바람이 부는대로 흔들리다 씨앗이 나사처럼 땅 속으로 들어가도록 합니다.
  까끌의 역활이 가장 큰 식물에는 개솔새가 있습니다.

  바랭이는 줄기에서 뿌리가 나 번식을 합니다.

 

 

 

쇠서나물

 

 

꽃의 모양이 소혓바닥 같다고 해서 '쇠서나물'이라고 부른다고 하네요.
소혓바닥 같은가요?

 

 

 

도둑놈의지팡이

 

 

 

도둑놈의지팡이 열매

 

 

 

며느리밑씻개

 

 


  잎이 삼각뿔 모양이며 줄기에 있는  가시가 밑으로 향하고 있습니다.

  ※ 며느리밑씻개를 일본에서는 '의붓자식의밑씻개' 라고 합니다.
     우리나라 말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의붓자식이라면 미운 자식일거라고  생각해서
     시어머니에게는 미운 며느리로 이름을 바꾸었다고 합니다.

 

 

 

진득찰

 

 

 

짚신나물

 

 

 

미국쑥부쟁이

 

 

 

수까치깨

 

 

 

누리장나무

 

 

 

나도미꾸리

 

 

 

나도미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