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길목에서 만난 탄천 친구들

2019. 9. 22. 21:38식물/야생초본류

2018.10

 

 

 

촛불맨드라미

 

 

 

양재 탄천은 여의도 샛강생태공원과 비슷한 환경이어서 식생도 샛강생태공원에서 보던 그대로입니다. 

하지만 생태환경은 샛강생태공원이 탄천보다 우수하고 생물의 종류도 다양합니다.

샛강은 생태공원이어서 제초를 하지 않거든요.

샛강생태공원의 가을 단풍은 몽환적이고 비 오는 날의 운치는 감탄을 자아냅니다.

어쨋거나 탄천에서 공부한 식물을 샛강생태공원에서도 보게 될테니 샛강을 탐방할때 많은 도움이 되겠지요.

탄천 저 멀리에서 중대백로를 보았스빈다.

샛강에서 보았던 외가리만큼 감흥이 컸습니다.

모레는 샛강에 한번 나가봐야겠어요.

 

* 중대백로  :   다리가 흑색

  쇠백로     :   다리가 노란장화

  대백로     :   노란색에서 흑색으로 

 

 

 

 

 

촛불맨드라미

 

 

 

고욤나무 열매

 

 

 

고욤나무 잎을 잎벌레가 갉아 먹어 마치 결각이 있는것처럼 보여요.

 

 

 

봄망초

 

 

 

쇠뜨기   마디에 퇴화된 잎이 있으며 뿌리를 잘라도 잘린 뿌리에서 다시 줄기가 자랍니다.

 

 

 

쇠무릎(우슬)

 

 

뿌리가 관절에 좋다고 하여 허리나 무릎이 아픈 어른신들이 뿌리를 삶아 그 물을 마시기도 합니다.

 

 

 

소리쟁이

 

 

1년에 6만개의 씨앗을 생산하며 종자 저장 기간은 80년이라고 합니다.
저장량도 백만개나 된다고 하니 인간들은 소리쟁이 없앨 생각은 꿈도 꾸지 말아야겠어요.

 

 

 

누운주름잎

 

 

 

물쑥  물쑥도 뿌리를 먹습니다.

 

 

 

석잠풀

 

 

 

환삼덩굴 수꽃

 

 

 

환삼덩굴 암꽃

 

 

환삼덩굴은 수꽃은 위에 피고 암꽃은 아래에 핍니다.
이유는 자가수분을 막기 위해서 수꽃의 꽃가루를 널리 퍼뜨리기 위해서입니다.

 

 

 

쥐꼬리망초

 

 

 

가는금강아지풀

 

 

 

가을강아지풀

 

 

 

미국실새삼

 

 

꽃잎이 뒤로 젖혀지면 미국실새삼이고 그렇지 않으면 실새삼입니다.

 

 

 

쇄기풀

 

 

 

원추리 뿌리

 

 

알이 있는 부분은 뿌리가 아니라 줄기입니다.
이와 같은 형태의 뿌리를 가진 식물에는 맥문동이 있습니다.

 

 

 

루드베키아(원추천인국)

 

 

 

구절초

 

 

 

큰비짜루(샛강살이)

 

 

 

큰비짜루(샛강살이)

 

 

 

큰비짜루(샛강살이)

 

 

큰비짜루(샛강살이)는 샛강에서 처음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둥근잎유홍초

 

 

 

둥근잎유홍초

 

 

 

박하꽃

 

 

 

버드쟁이나물

 

 

 

버드쟁이나물

 

 

잎의 결각이 갈라졌어요.
가새쑥부쟁이는 잎의 결각이 덜 갈라졌습니다.
잎은 중간 정도에 있는 잎으로 판단합니다.

 

 

 

익모초

 

 

 

큰도꼬마리

 

 

 

큰도꼬마리

 

 

 

큰도꼬마리

 

 

흔히 보이는 도꼬마리입니다.
열매의 가시에 또 가시가 있으면 가시도꼬마리인데 보기가 쉽지 않습니다.
털이 있으면 큰도꼬마리입니다.
털이 없으면 도꼬마리입니다.
도꼬마리의 열매를 잘라 루페로 보면 큰 씨방과 작은 씨방으로 나누어집니다.
생육하기에 좋은 땅에서는 큰 씨방의 씨앗이 뿌리를 내리지요.
그러나 척박한 땅에 떨어지면 작은 씨방의 씨앗이 뿌리를 내립니다.
참 똑똑한 씨앗입니다.

 

 

 

 

떡비름과 씨앗

 

 

 

떡비름과 씨앗

 

 

 

큰방가지똥

 

 

 

큰방가지똥

 

 

 

금불초

 

 

 

물억새

 

 

 

가새쑥부쟁이

 

 

 

가새쑥부쟁이

 

 

 

흰꽃여뀌

 

 

 

흰꽃여뀌

 

 

 

물을 건넌다는 달뿌리풀

 

 

 

물을 건넌다는 달뿌리풀

 

 

 

'식물 > 야생초본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축령산 단풍  (0) 2019.09.28
축령산 가을밤 친구들  (0) 2019.09.28
뱀고사리  (0) 2019.09.21
이름이 왜 국수나무일까요?  (0) 2019.09.20
가을 축령산에는 꼬마 핫도그가 달린 애기 부들도 있어요  (0) 2019.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