샛강 지킴이 식물(6월)

2019. 9. 1. 00:07구역/여의도생태

2019

 

토끼풀

 

 

토끼풀

토끼풀은 풀이 뜯길때마다 독을 내뿜는다.

우리가 풀내음이라고 하는 향이 피톤치드인데 토끼풀은 소가  뜯고 나면 1시간후에 독한 피톤치드를  

내뿜는다. 그래서 소는 풀을 뜯을때 한 곳에서 뜯지 않고, 여기 저기 번갈아 가며 풀을 뜯게 되는데 

풀이 내뿜는 독성을 피하기 위함이다.

소는 위가 4개여서 먹이를 저장 하고 되새김질을 한다.

 

가장 오른쪽 토끼풀은 아직 수정이 되지 않았으며, 가운데 토끼풀은 아래로 숙인  수정이 된 것과  

수정이 되지 않은 것이 섞여 있다.

가장 왼쪽의 토끼풀은 모두 수정이 되었다.

 

 

* 다닥냉이   - 수술이 6개임

  콩다닥냉이 - 수술이 2개임

 

 

 

뽕나무이

 

 

 

 

며느리밑씻개

 

 

줄기의 가시가 아래로 향해 있으며 오염이 된 곳에서도 잘 자라서 도시형이라고 한다.

반대로 며느리배꼽은 오염된 곳에서는 잘 보이지 않고 덜 오염된 곳에서 자라기 때문에 농촌형이라고 한다.

 

 

 

찔레의 탁엽

 

 

 

찔레의 탁엽

 

 

찔레의 탁엽

잎자루를 꺾으면 탁엽이 따라 나온다.

장미의 원조는 찔레 토종이다.

 

장미를 선물 받으면 향기를 맡아보는  것이 예의인데, 장미의 향기는 부정한 마음을 긍정의 마음으로 

바꾸어 준다고 한다.

 

 

 

미국자리공

 

 

 

 

참느릅나무

 

 

 

참느릅나무

 

 

참느릅나무

느릅나무에 비해 잎이 작으며 7~8월에 열매를 맺어 이듬해까지 떨어지지 않고 달려 있다.

느릅나무의 잎은 참느릅나무잎의 3~4배이며, 5~6월에 열매가 열리면 거의 떨어진다.

 

* 느릅(늘인다) - 느릅나무의 껍질을 벗겨 찧으면 끈적한 액이 나와서 죽을 끓여 먹었다고 하여

                         죽을 '늘인다'라는 뜻의 느릅나무로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애기메꽃잎

 

 

 

개소시랑개비

 

 

 

물쑥

 

 

 

물쑥

 

 

물쑥

봄에 뿌리를 캐서 나물로 먹는다

 

 

 

돌나물꽃

 

 

 

만첩빈도리

 

 

 

만첩빈도리

 

 

 

야생꽈리

 

 

 

큰고랭이

 

 

 

큰고랭이,  노랑꽃창포, 줄

 

 

 

큰고랭이

 

 

 

오리새

 

 

 

오리새

 

 

 

오리새

 

 

 

큰금계국 - 중앙부분이 갈색

 

 

금계국 - 중앙부분이 노랑색

 

 

 

여의못

 

 

 

5월 11일의 족제비싸리

 

 

 

5월 11일의 족제비싸리

 

 

 

족제비싸리

 

 

 

족제비싸리

 

 

 

지칭개

 

 

 

앵두

 

 

 

앵두

 

 

 

앵두주름병

 

 

 

토종 뽕나무

 

 

 

토종 뽕나무

 

 

 

큰팽나무이

 

 

 

개망초

 

 

 

개망초

 

 

개망초

유한꽃차례는 꽃이 차례대로 피지 않는다.

콩다닥냉이 무한꽃차례는 꽃이 위로 차례대로  핀다.

 

 

 

여의못의 부들

 

 

 

지칭개

 

 

 

지칭개

 

 

 

지칭개

 

 

 

뽀리뱅이

 

 

 

2019. 6

'구역 > 여의도생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익어가는 결실의 공원(8월)  (0) 2019.09.02
큰낭아초와 도깨비가지(6월)  (0) 2019.09.01
먹이를 노리는 왜가리(5월)  (0) 2019.08.31
샛강 나들이(3월)  (0) 2019.08.31
태풍이 지나간 샛강에는(9월)  (0) 2019.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