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샛강 2구역 식물 모니터링-2

2022. 11. 8. 21:13구역/여의도생태

2022. 11. 08

 

 




- 관다발 : 심재, 형성층, 변재

- 나이테
1. 추재 : 나이테의 짙고 가는 부분. 늦가을/가을
2. 춘재 : 나이테의 옅고 넓은 부분. 봄/여름
-두 부분을 합치면 1년 동안 나무가 자란 크기가 된다.
3. 심재 : 안쪽으로 밀려들어가 물/양분을 이동시키지 못하는 곳. 어두운 색을 띈다.
4. 변재 : 나이테의 바깥부분으로 밝은 색을 보이며 물과 양분이 이동하는 곳이다.
-목부(도관부) : 물 이동
-사부(체관부) : 양분 이동
-수피 : 나무를 둘러싸고 있는 조직
-주피(코르크층) : 지나친 수분 증발을 방지 한다. 태왕광/추위로부터 보호한다. 버섯균/곤충공격 방지한다.
-형성층
모든 조직과 기관은 형성층 세포조직이다. 정확하게 말해서 전형성층에서 시작된다. 형성층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세포분열이다. 형성층 조직이 계속 분화해서 목부와 사부 뿐만 아니라 도관, 가도관 및 사관세포 등이 만들어 진다.

 

 

접붙이기

  1. 관다발끼리 연결돼서 물과 양분을 을 전달한다.
  2. 침엽수와 활엽수는 접붙이기가 안된다.
  3. 가시박은 수박이나 오이의 대목으로 들어왔으나 버려진 것이다,
  4. 관다발 형태가 비슷하면 접붙이기가 잘된다.

가죽나무는  관다발 구멍(엽흔)이 많으나 참죽나무는 관다발 구멍이 5개이다.

서울귀룽나무는 봄에 가장 잎이 먼저 나는 나무이며 줄기는 쓴맛과 단맛이 난다.

 

 

본 가지를    잘라 버린 탓에 잠아(숨어 있는 눈)가 발아했다

 

겨울눈은 정아 ,부정아로 나누며 부정아는 숨어 있는 눈 즉 잠아, 막눈등이 있다.

 

 

오래 된 뽕나무

 

 

오래 된 뽕나무

 

답압에 의한 스트레스로  뿌리의 비정상적 기능으로 줄기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숨어 있던 잠아가 싹을 틔우지 

못한 흔적이기도 하다.

 

 

오래된 뽕나무의 뿌리가 줄기화 되었다.

거들링 현상은  뿌리가 뿌리를 덮어 하나가 되었다.

 

 

오래 된 뽕나무의 뿌리가 줄기화  되었다.

 

 

오래 된 뽕나무의 뿌리가 줄기화 되었다.

 

 

오래 된 뽕나무가 줄기화 되었다.

 

 

오래 된 뽕나무가 줄기화 되었다.

 

 

오래 된 뽕나무가 줄기화 되었다.

 

 

오래 된 뽕나무가 줄기화 되었다.

 

 

중국굴피나무

 

 

중국굴피나무

 

 

중국굴피나무

 

 

중국굴피나무

 

 

중국굴피나무

 

 

중국굴피나무

 

 

중국굴피나무

 

중국굴피나무는 열매가 아래로 처진다.

굴피나무는 열매가 위로 열린다.

 

 

달뿌리풀

 

 

 

달뿌리풀

 

 

달뿌리풀

 

 

달뿌리풀

 

 

달뿌리풀

 

 

달뿌리풀

 

 

달뿌리풀

 

물억새는 한 뿌리당 하나의 가지가 나오며 까끄라기가 없다. 

억새는 한 뿌리당 몇 개의 가지가 나오며 까끄라기가 있다.

 

 

 

<갈대와 달뿌리풀의 구별법>
 
산 정상 부근이면 억새, 계곡이나 작은 천이면 달뿌리풀, 강 하구이면 갈대일 가능성이 높다.








. 갈대의 씨앗 - 더벅머리 모양이며 양쪽의 짧은 포영이  중앙의 가장 긴 호영의 1/5 길이임.
. 달뿌리풀     - 씨앗이 퍼져 있으며 양쪽의 짧은 포영이  중앙의 가장 긴 호영의 1/2 길이임.

 

 

 

 

 

 

'구역 > 여의도생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크를 먹어 버린 나무  (0) 2022.11.17
중대백로  (0) 2022.11.08
여의샛강 2구역 식물 모니터링-1  (0) 2022.11.08
여의샛강 3구역 식물 모니터링-3  (0) 2022.10.30
여의샛강 3구역 식물 모니터링-2  (0) 2022.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