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11. 20. 20:12ㆍ식물/야생목본류
들풀에게는 겨울눈이 없지만 나무에게는 겨울눈이 있습니다.
나무가 어린가지에 남긴 겨울눈은 나무마다 제각기 다른 모습을 하고 있지요.
이러한 겨울눈과 흔적으로 나무를 식별합니다.
정아 - 가지의 끝부분에 있는 겨울눈
측아 - 가지의 측면에 있는 겨울눈
액아 - 줄기와 잎 사이에 있는 겨울눈
부아 - 정아나 측아의 옆이나 아래에 있는 작은 눈
중생부아 - 정아나 측아의 아래에 붙어 있는 부아
측생부아 - 정아나 측아의 옆에 붙어 있는 부아
꽃눈(화아) - 꽃만 나오는 눈
잎눈(엽아) - 잎만 나오게 되는 눈
혼아(혼합아) - 꽃과 잎이 같이 나오는 눈 (딱총나무)
은아 - 가지의 안쪽에 숨어 쉽게 볼 수 없는 눈(아까시나무,회화나무)
잠아(암아) - 나무의 줄기 껍질 속에 숨기고 있다가 위급할 때 터지는
겨울눈 (맹아지, 도장지가 잠아에서 발생)
아린(인편) - 잎이나 탁엽이 변해 된것입니다.
다음 해에 잎과 꽃이 될 어린 소기관을 보호하고,
추위나 외부의 야생동물로부터 피해를 막아줍니다.
봄이 되면 어린잎과 꽃이 돋아나면 아린은 곧 떨어지는데 흔적을
남기게 되지요.
이 흔적을 아린흔이라고 합니다
아린흔으로 나뭇가지의 나이를 측정합니다.
인아 - 아린으로 덮여 있는 겨울눈입니다.
나아 - 아린이 없는 겨울눈입니다.
어린가지(소지)- 당년도에 자란 가지를 말합니다.
나무를 식별하는 데 가장 좋은 기준 중의 하나가 되며
어린가지에서 관찰해야 하는 것은
겨울눈, 엽흔, 탁엽흔, 골수의 형태와 빚깔, 맛, 향기, 피목, 털의 유무,
흰 분말가루의 유무, 가시의 발달유무, 잛은가지(단지)의 발달 유무
등입니다.
수(골수) - 나뭇가지의 중앙부를 이야기 하는데, 모양이나 빚깔이 설로 다릅니다.
골수가 꼭 차는 경우도 있고 비어 있는 경우도 있으며 계단처럼 중간
중간 비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색은 흰색부터 황갈색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나무를 식별
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엽흔 - 잎이 붙어 있던 자국입니다.
관속흔 - 엽흔 속 표면에 작고 둥근 흔적들이 있는데 물과 양분을 잎과 가지로
이동 시켜 주는 관속조직이 단절 된 흔적입니다.
탁엽흔 - 탁엽을 가지고 있는 나무에만 나타나며 아주 작습니다.
엽흔의 좌 우에 있습니다. (오동나무, 버즘나무)
털 - 나뭇잎이나 열매, 줄기의 표피조직이 변해서 생겨 난 것입니다.
가시 - 나무의 잎이나 껍질 또는 가지의 조직이 변해서 생겨 난 것입니다.
* 경침 : 나무의 가지(지침)나 줄기가 변해 가시가 된 것을 말하며 ,
탱자나무가 있습니다
쉽게 떨어지지 않습니다.
* 엽침 : 잎이나 탁엽이 변해 가시가 되었으며, 아까시나무의 가시는
탁엽이 변하였고, 매자나무의 가시는 잎이 변한 것입니다.
가시는 규칙있게 납니다.
쉽게 떨어집니다.
* 피침 : 나무의 껍질이 가시로 변한 것을 의미하며 장미, 두릅나무가
있습니다.
가시는 불규칙하게 납니다.
쉽게 떨어집니다.
털로 덮여 보호를 받는 겨울눈 - 목련
끈끈한 점액에 의해 보호를 받는 겨울눈 - 칠엽수
딱딱한 껍질(아린)로 싸여 보호를 받는 겨울눈 - 참나무
겨울눈(동아)는 장차 봄철에 잎이나 꽃 또는 가지가 되는 조직을 말합니다.
털이나 딱딱한 껍질, 끈끈한 액에 의해서 보호를 받을만큼 나무에게는
아주 중요하지요.
잎이 다 떨어지고 앙상한 가지만 남아 있는 상태에서 나무를 식별하는데
매우 중요한 단서가 됩니다.
참고자료 나무와 숲 - 남효창
귀롱나무 맹아지
* 들메나무는 묵은 가지에서 눈이 나옵니다.
* 나무를 잘랐을 때 껍질이 끊어지지 않고 죽 벗겨지는 나무에는 느릅나무와
산뽕나무가 있습니다.
* 지네의 다리는 짝수이며 뒤로 갈수록 길어서 다리가 많아도 서로 엉키지 않습니다.
작살나무의 겨울눈
잎의 나아가 보입니다.
가지의 겨드랑이에서 꽃이 피는데 가지는 삼지창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 좀작살나무는 가지의 겨드랑이에서 좀 떨어져 꽃이 핀다고해서 좀작살나무라고...
겨울나무의 겹눈에서 부아는 잘 자라지 않으나 국수나무는 예외입니다.
겹눈에서 부아가 잘 자라며 가지가 촘촘하여 생태계의 지표식물입니다.
가지가 많은 것은 부아가 잠아로 있다가 자라납니다.
*생태계 지표식물의 특징
토양, 공해, 바람 등이 오염되면 잘 자라지 못하므로 국수나무가 있으면
건강한 환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때죽나무나 쥐똥나무도 생태계 지표식물이긴하나 도시에서도 잘 자랍니다.
가지가 곧게 뻗어 자랍니다.
* 개서어나무는 남쪽지방에서만 살고 있으며 중부지방에 살고 있는 나무는 식재한 것입니다.
*벚나무의 수령은 50~60년이고요,
아까시나무의 수령은 80~130년입니다.
벚나무와 느티나무의 피목이 가로로 있으면 생장활동이 왕성한 상태이며,
세로로 나타나면 수명을 다 한 것입니다.
* 당단풍나무는 겨울눈에 털이 많습니다.
단풍나무는 겨울눈에 털이 조금 있습니다.
이스라지(앵도)
이스락이라고도 합니다.
암술대에 털이 있습니다.
산이스라지는 암술대에 털이 없습니다.
괴불나무 열매
가지 속이 비었습니다.
가지의 골수가 빈 나무 - 괴불나무, 개나리, 각시괴불, 선괴불
가지 속에 사다리 모야의 경막이 있는 나무 - 선개나리
가지 속에 경막이 촘촘히 있는 나무 - 만리화
'식물 > 야생목본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산의 겨울나무 (0) | 2019.11.20 |
---|---|
목련의 탁엽과 아린 그리고 겨울눈 (0) | 2019.11.20 |
대모산의 나무들 생강나무와 닥풀 (0) | 2019.10.11 |
겨울을 준비하고 있는 대모산의 나무들 (0) | 2019.10.10 |
고광나무 (0) | 2019.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