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모산의 나무들 생강나무와 닥풀

2019. 10. 11. 14:15식물/야생목본류

생강나무 겨울눈

 

 

 

 

맨 위 길쭉한 눈은 생강나무 잎눈이고, 아래 둥근 두 개의 눈은 꽃눈입니다.
생강나무는 꽃을 피우는 한 달만 제외하고 7월부터 일년내내 눈이 생깁니다.
11월부터 1월 까지는 생장을 멈추고 2월부터 커지기 시작합니다.
그래서 11월부터 3월까지 겨울눈을 불 수 있습니다.

 

 

 

생강나무

 

 

 

 

은사시나무

 

 

 

은사시나무
잎의 뒷면은 흰색입니다.
사시나무는 잎의 앞과 뒷면이 같은 색입니다.

* 나무에 노란색이 칠해져 있으면 보호수이고
  나무에 빨간색이 칠해져 있으면 제거목 이며
  흰색이 칠해져 있으면 경계를 표시합니다.

 

 

 

은사시나무

 

 

 

딱따구리가 파 놓은 구멍

 

 

딱따구리는 나무의 가지 겨드랑이에 구멍을 팝니다.
그 이유는 비각 와도 나무의 가지가 빗물을 막아 주어 둥지가 젖지 않기 때문입니다.

 

 

 

불두화의 겨울눈

 

 

 

불두화의 헛꽃

 

 

불두화의 꽃은 오래갑니다.
백당나무의 꽃은 수정이 끝나자마자 시들어 버립니다.
산수국의 헛꽃이 떨어지면 곤충이 잘 오지 않습니다.
잎에 결각이 있는 나무 : 불두화, 백당나무

 

 

 

이끼 : 이끼는 물길을 따라 자랍니다. 나무의 수피에  있는 물길을 따라 이끼가 나 있습니다.

 

 

 

국수나무

 

 

 

가지를 잘라 가는 가지로 밀면 가운데 심이 빠집니다. 그 모양이 마치 국수가락 같다고해서 국수나무라고 합니다

 

 

 

백목련의 탁엽 목련을 북향화라고도 합니다.

 

 

 

풍년화 노란색입니다. 중국풍년화는 황금색이며 샛노란색입니다. 루비풍년화는 풍년화와 중국풍년화가 혼홥된 붉은색입니다.

 

 

 

풍년화의 꽃잎은 한 장 한 장이 돌돌 말려 있습니다.

 

 

*수국 - 열매가 없음
 열매수국 - 열매가 있음

 

 

 

까마귀밥나무 (까마귀밥여름나무)

 

 

 

까마귀밥나무 (까마귀밥여름나무) 꼬리꽃차례이며  반상록나무입니다.

 

 

 

뱀허물쌍살벌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리기다소나무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리기다소나무

 

 

 

닥풀(황촉규)

 

 

 

닥풀(황촉규)

 

 

 

닥풀(황촉규)

 

 

 

닥풀(황촉규)

한지는 닥나무로 만듭니다.
주원료이지요.
그러나 닥은 섬유가 길기 때문에 실처럼 엉키기 쉽습니다.

이 엉킴을 방지하기 위해서 닥풀(황촉규)를 넣어줍니다.
일정 시간이 지나면 엉킨 닥 섬유가 분산되고
닥풀의 점성이 없어져서 순수한 종이만 남게 됩니다.

닥풀의 또 다른 중요한 역활은  종이의 강도를 높여주는 것입니다.
많이 넣을수록  종이는  질겨지며 적게 넣으면 부드러워집니다.

또 점성에 의해 서로 붙어 있던 한지를 한 장 한 장 떼어지게  하며
종이를 뜰 때 닥 섬유가 아래로 가라앉는 것을 막아 줍니다.

 

황촉규는 뿌리만 사용하며 한지를 만들 때 없어서는 안 되는 
아주 중요한 부원료입니다.

'식물 > 야생목본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련의 탁엽과 아린 그리고 겨울눈  (0) 2019.11.20
겨울나무를 보는 방법 (천마산)  (0) 2019.11.20
겨울을 준비하고 있는 대모산의 나무들  (0) 2019.10.10
고광나무  (0) 2019.09.28
생강나무  (0) 2019.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