샛강 수중생물

2022. 10. 25. 14:58구역/여의도생태

2022. 10.22

 

월동회유 - 겨울에 추위를 피해서 한강 본류로 월동 하러 갔다가 산란철에 다시 돌아 옴.

먹이는 봄에 많이 먹고 가을에 온도가 내려가면 잘 안 먹는다.

 

 

 

구피(외래종)

구피는 애완용으로 나와서는 안되는 종이 나왔다.

알을 품은 듯하다.

 

 

꾹저구

 

 

납자루

 

 

납자루

납자루는 수컷의 배지느러미가 빨갛다.

 

 

몰개

붕어가 진짜 붕어이고, 참붕어는 이름을 잘못 붙인것이다.

참붕어는 몰개가 맞다.(샛강 수달천에 많다)

 

 

 

민물검정망둑

 

 

민물두줄망둑

 

 

밀어

 

 

배스

배스 - 4번의 샛강 범람 후 많이 유입 되었음.

           좀 더 더러운 곳에서도 잘 산다.

 

 

버들매치

버들매치 - 물 속에서 앞지느러미를 잠자리 날개처럼 펼치고 있음.

                 중국과 우리나라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버들매치

 

 

블루길

블루길 (베트남붕어) - 미국에서 유입된 종이다.(여의못)

베트남붕어는 월남붕어라고 부르기도 한다.사실은 미국에서 유입된 종이다.

우리나라가 월남 참전 즈음에 월남에서 유입 된 것들이 많아서 좀 흔하면 월남이란 이름을 붙였다.

예) 월남치마

순자붕어(대청호) - 이순자여사가 방생했다 한다.

                                30센치까지자라며 새우등 치어를 많이 잡아 먹어 생태교란종이다.

 

새뱅이

새뱅이 - 암,수 (벽계수폭포 연못)

 

줄새우

 

 

참게

참게 - 2년 이상 살지 못한다(확인 요망)

 

참붕어

생태교란종(생태유해종) - 참붕어가 할 수 있는 역활을 한다.

                                          같은 먹이를 먹고 있음에도 외국에서 유입된 종이라는 이유만으로 생태교란종이란 

                                          타이틀이 붙였다.

                                          멍에를 뒤집어 썼으며, 혐오를 조장한다.

쏘가리 - 먹이의 40%를 잡아 먹는다.

  

 

참중고기

 

 

치리

치리 - 물 속에서 헤엄칠 때 자세히 관찰하면 꼬리지느러미가 까맣게 보인다.(센터 앞)

 

 

큰납자루

큰납자루 - 납자루에 비해서 좀 더 유선형이다.

 

 

피라미

피라미 - 눈 주둥이 끝이 빨갛다.

 

참중고기

중고기 - 조개에 알을 낳는다.

              중류에 산다.

              암컷은 산란관이 있다.

              오염에 민감하다.

              이번 모니터링에서 처음으로 나타 남.

 

남조류 - 바닥에 흉하게 보인다

혐기성조류

다슬기

등각류

플라나리아

누치 - 하천, 연못의 바닥 유기물을 다 먹는다.

           물을 깨끗하게 하는 역활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