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고 또 새로 나고

2022. 10. 25. 18:13구역/여의도생태

2022. 10. 25

 

나무가 겨울준비를 할 때에는 물을 빼고 잎을 떨군다.

잎에 떨켜가  생기면 가지와 잎을 분리하여 영양분이 잎으로 가지 못하게 되어, 엽록소 활동을 하지 못해

누렇게 혹은 불그스름하게 단풍이 들게 되어 잎이 떨어진다.

엽록소 활동을 하지 못한 누런 단풍색이 잎의 진짜 색이며,

엽록소 활동을 한 녹색은 잎의 진짜 색이라고 할 수 없다.

또한 나무는 봄에 겨울눈을 준비하여 가을이면 더 튼튼하고 실하게 된다.

 

벚나무는 꽃에 꿀샘을 만들지 않으며 잎에 두개의 밀선(꿀샘)을 만들어 개미에게 꿀을 제공한다.

대신 개미들은 다른 곤충의 침입을 막아주며 꿀샘의 꿀은 7월 중순 꽃이 질때까지만 있다.

더 이상 개미의 조력이 필요 없기 때문이다.

 

또한 칠엽수보다 활엽수가 우수하다.

일본에서 발견 된  2억년 전의 은행나무 화석을 보면 처음에는 침엽수(차상맥)이었으나 잎이 붙어 활엽수가 된 것이다.

은행나무는 독이 있고, 냄새가 있어 산에는 살지 못한다.

오래 된 은행나무는 대개가 암나무이며 암나무와 수나무의 비율은 10 : 1이다.

한반도 기후가 변하면서 활엽수(참나무 소사나무...)가 천이를 하였다.

 

회양목은 도장나무라고도 하는데, 천천히 자라서 밀도가 높아 도장이나 호패등을 제작 사용하였다.

 

팔만대장경은 강화도에서 제작하여 해인사로 옮겨 왔으며 고려때 강화도에서 많이 나는 나무인

산벚나무, 돌배나무, 자작나무로 만들었다.

잎이 작은 활엽수일수록 목질이 좋으며 산벚나무, 돌배나무, 자작나무 모두 활엽수이다.

 

초피 - 껍질을 갈아서 가루로 사용 한다.

산초 - 씨앗으로 기름을 짜서 먹는다.

 

 

 

개망초

 

 

개망초

 

 

개망초

 

 

개망초 위치

 

 

개망초

 

풀은 90% 이상이 쓴맛을 내는데, 우슬은 단맛이 있어 봄에 새순을 뜯어 샐러드를 만들어 먹기도 한다.

단맛을 내는 대표적인 풀로는 풀솜대(지장보살풀)이 있다.

 

대표적인 기근식물로는 도토리, 소나무, 느릅나무가 있다.

도토리는 들판의 곡식을 바라 보면서 열매를 맺는다고 하며 봄 가뭄때는 수정이 잘 되어서 열매를 많이 맺지만,

비가 많을때는 꽃가루가 빗물에 씻겨 수정이 잘 되지 않아 열매가 적다.

소나무 껍질로만 죽을 끓이면 변비에 심하게 걸리지만 느릅나무 껍질을 섞어 끓이면 변비가 없다.

 

 

달맞이꽃

 

 

우슬(쇠무릎)

달맞이꽃은 밤에 피어서 나방이 많이 날아든다.

사람 따라 다니며 사는 식물을 더부식물이라고 하며, 닭의장풀, 질경이, 은행나무 등이 있다.

 

뽀리뱅이

 

 

왼쪽 뽀리뱅이, 오른쪽 달맞이꽃

 

 

닭의장풀(달개비)

 

 

닭의장풀

 

 

망초

 

 

왼쪽 망초, 오른쪽 개망초

 

 

망초꽃

 

 

망초

 

 

망초

 

 

망초

 

망초의 망은 무성할 망 한자어를 쓰며, 줄기에 털이 있다.

 

 

사철나무

 

 

사철나무

 

 

사철나무

사철나무의 잎나선형 나기여서 햇빛을 잘 받아 광합성 작용에 유리하며,

이것을 삼퍼브라운의 법칙이라고 한다.

사철나무의 수열은 피보나치 수열이다.

 

 

느티나무나 사철나무는 잎의 각도가 각 각 달라서 햇빛을 골고루 받을 수 있다.

특히 느티나무는 피돈치드가 많이 나와서 벌레가 없어 정자목으로 많이 이용되며

보호수 54%가 느티나무이다.

느티나무에는 늦게 티가 난다, 혹은 나무의 백조, 대기만성 뜻이 있다고 한다.

잎의 각도가 다르게 나는 것을 심퍼-브라운의 법칙이라고 한다.

 

심퍼-브라운의 법칙

[ Schimper-Braun’s law , ~ ]

나선입차례에서의 개도와 수열의 관계. 독일의 식물학자인 K.F. Schimper A. Brown이 발견하였다. 

나선잎차례에 갖가지 개도의 식물이 알려져 있지만, 그것들의 개도와 전주의 비는 어느 것이나, 

과 같은 수열에 해당한다. n=2라고 하면, 즉 1/2, 1/3, 2/5, 3/8, ···이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잎차례가 되고, 이것을 주열()이라고 하여 n=2 이외의 부열과 구별한다.

또한 주열은 피보나치수열(Fibonacci series, p, q, pq, p+2q, 2p+3q, 3p+5q, ···로 나타내는 수열.

심퍼-브라운의 수열이라고도 함)이 하나 건너의 수를 분자 · 분모로 하는 분수이기도 하다.

이것은 고전적으로 유명한 잎차례의 법칙이지만 근사치를 나타내는 것에 지나지 않고,

이것에 적합하지 않은 예도 있다.

 

참느릅나무의 뿌리는 유근피이다

 

 

참느릅나무

 

 

참느릅나무

 

잠실에 뽕나무가 많은 이유는

국가가 양잠업 권유를 주도하여 동잠실, 서잠실(신촌)에 뽕나무를 많이 식재하였다.

중전의 주 역활은 양잠업 관리였다.

 

충매화 - 곤충에 의해 씨앗이 옮겨진다. 버드나무

풍매화 - 바람에 의해 씨앗이 날린다.바람에 의해 날리는 씨앗은 꽃이 예쁘지 않다.

              곤충을 유혹할 필요가 없어 향기와 아름다움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조매화 - 새에 의해 씨앗이 옮겨진다. 새는 빨간색을 좋아한다.

 

 

칠엽수 열매와 마로니에 열매

 

플라타너스의 플라타는 플라톤에서 유래 했으며 플라톤은 어깨가 넓어, 넓은 잎을 가진 나무라고 해서

플라타너스라고 한다.

양버즘은 방울이 한 개이며, 버즘나무는 방울이 2 ~3 개이다.

북한에서는 버즘나무를 방울나무라고 한다.

 

껍질이 매끈한 열매는 칠엽수 열매이며 돌기가 있는 열매는 마로니에 열매이다.

 

 

등나무 열매

 

좌등우갈 - 왼쪽 방향으로 감아 올라가는 등나무는 시계 방향이며,

                 오른쪽 방향으로 감아 올라가는 칡은 시계 반대 방향이다.

 

 

리기다소나무 잎은 3갈래이다

 

 

리기다소나무 씨앗, 가시가 있다

 

 

백송 씨앗

적송 씨앗은 편린당 씨과가 2개 있다.

리기다소나무 씨앗은 가시가 있다.

 

 

넓적배사마귀

 

 

박주가리 열매(라마자)

 

정력제5자 - 구기자, 오미자, 복분자, 사상자, 토사자 이 5가지보다 더 강력한 정력제는 박주가리이다.

산에 가면 무조건 먹어라 - 둥글레와 마이며 마는 줄기에서 뿌리를 내려 번식을 한다(천이) 

 

참느릅나무 열매

 

참느릅나무는 봄에 잎이 먼저 나고 꽃이 피며

느릅나무는 꽃이 먼저 피고 잎이 후에 난다.

 

양버들 - 서양버들이라고 하며 가지 끝이 위로 올라간다. (양)

미류나무 - 미국버드나무이며 잎이 아래로 처진다 (버들 유)

노란색 잎은 80%가 능수버들이며, 갈색 잎, 붉은 계통의 잎은 수양버들이다.

버드나무는 인이 많기 때문에 환하여 도깨비도 도망 간다고 하여, 굿을 할 때도

버드나무를 흔든다.

양유관음보살 - 버들가지를 들고 있는 보살

 

 

참느릅나무 열매

 

 

갈대와 억새

갈대의 잎에는 중앙에 흰 줄무늬가 없으며, 크다.

억새의 잎에는 중앙에 흰 줄무니가 있고, 작다.

 

 

돼지감자

 

 

 

2022. 10. 25. 샛강 3구역 생태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