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2. 17. 19:45ㆍ구역/국립현충원
2024년 12월 10일 촬영
큰 소나무 아래에서 하늘을 올려다 본 적이 있으신가요?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하늘을 나는 두 마리의 새를 보면 어떤 이야기가 있을지 궁금해 본 적이 있으신가요?
자연에 존재하는 생물들을 인간의 시각이 아닌 존재자의 입장에서 보고, 듣고,
냄새를 맡으며, 맛보면서 느끼고, 그들의 언어와 역사를 인문학적으로 관찰하는
업그레이드 된 주원섭 선생님의 해설을 들으며 내내 감탄하였습니다.
큰 소나무 아래서 고개를 들어 위를 보니 가리는 가지가 없이 파란 하늘이
고르게 보였습니다. 나무 전지를 참 잘 하셨다며 칭찬을 하셨어요.
가지가 한 쪽으로 몰려 있어 하늘을 가리면 햇빛을 받아야하는 나무의 생장에도
어려움이 있겠지요.
두 마리의 새가 하늘을 날고 있습니다.
심심한 말똥가리가 까마귀의 구역을 침범하니 까마귀가 떼로 몰려와 말똥가리를
쫒아냅니다. 도망가는 말똥가리는 다른 까마귀의 구역으로 달아납니다.
까마귀들은 서로의 구역을 침범하지 않는 습성이 있지요.
말똥가리들을 쫒던 까마귀들은 한 마리, 두 마리, 빠지고 남은 한 마리만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쫒아가고 있습니다.
까마귀의 문화적 습성을 들여다 볼 수 있습니다.
영토 분쟁으로 인한 인간들의 욕심이 죽이고 죽는 전쟁의 원인이 되지요.
남의 구역은 침범하지 않는 까마귀에게 배워야 할 것 같습니다.
백송을 옮겨와 심을때 연리지까지 그대로 옮겨와 살렸습니다.
가지가 어느 한 곳에 몰려 있지 않고 하늘이 고르게 보입니다.
비둘기처럼 암컷과 수컷의 모양이 같은 조류는 육추 할 때 새끼를 번갈아 가며 같이 품어 줍니다.
청둥오리처럼 암컷과 수컷이 다른 모양의 조류는 암컷만 새끼를 품어주며 수컷은 적으로부터 암컷을 보호해 줍니다.
조류가 겨울에 차가운 물에 들어갈수 있는 것은 다리에 항온과 변온을 할 수 있기 때문이며 항온과 변온 사이에는
원더네트’(wonder net)라는 특수혈관계를 갖고 있습니다. 이 원더네트는 한 마디로 ‘열교환기’라고 할 수 있는데,
무수한 모세혈관 다발로 된 원더네트를 거치면서 심장으로부터 오는 따듯한 동맥피는 적당히 차가워지고 발끝에서
올라오는 정맥피는 적당히 따뜻해집니다.
발바닥 온도는 몸보다 낮은 수준에서 얼지 않을 만큼 적당한 수준을 유지합니다.
새들의 발은 사실 냉혈동물의 조직과 비슷해 추위 자극에 둔감한 편입니다.
아그배나무
아그배나무 열매
아그배나무와 야광나무는 닮은 점이 많아 구별이 쉽지 않습니다.
아그배 열매도 노란색과 붉은색이 있고, 야광나무 열매도 노란색과 붉은색이 있습니다.
줄기나 수피도 비슷하니 알아보기가 어렵네요.
잎이 타원형의 한 가지만 있으면 아그배나무이고, 변형된 잎이 같이 있으면 야광나무로
구별해도 좋습니다.
한 아주머니께서 겨울에 피는 벚꽃을 봤냐며 흥분하셔서 우리를 데리고 가셨습니다.
벚꽃이 아니고 일년에 두 번 피는 서부해당화입니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는지 부정아가 싹을 많이 틔웠습니다.
서부해당화 가지
서부해당화 꽃인데 겹꽃입니다.
서부해당화
서부해당화 겨울눈도 잘 보세요.
겨울에 핀 서부해당화 꽃
실육화
실육화
나무의 뿌리가 땅 위로 올라와 줄기화 되었습니다.
흙으로 덮어 주면 죽습니다.
이런 현상을 '거들현상'이라고 합니다.
나무 뿌리의 거들현상
남천 열매
부러진 독일가문비나무의 줄기
자작나무의 수피
넓적배사마귀 알집
두더지 굴
두더지는 땅 속으로 길을 만들어 다니며 땅 위로 볼록하게 솟은 것은 두더지의 굴입니다.
굴에는 두더지의 먹이인 지렁이가 있고 지렁이가 도망가지 못하게 이빨로 물어 마취 시켜 저장합니다.
어수리
어수리는 털이 많아서 빗물이 들어가지 못합니다.
백목련의 잎눈과 꽃눈을 유엽태라고 합니다.
개나리의 줄기
개나리는 줄기의 속 가운데 부분이 비어 있고, 장수말리화는 속이 차 있으며 산개나리는 대나무처럼 마디가 있습니다.
산철쭉 유엽태 - 2송이의 꽃이 피어납니다.
가죽나무에 붙어 있는 나나니벌 애벌레집
나나니벌 애벌레집
나나니벌 애벌레집
회양목의 앞면 잎(해면)을 한겹 봇기면 하나의 층이 나타나는데, 이 공간에 여름에는 물을 채우고,
겨울에는 공기를 채웁니다. 공기를 채운 겨울에는 잎이 양쪽으로 갈라지므로 잘라서 놀이삼아 돛단배를
만들어 보기도 합니다. 화양목이 겨울을 나는 법입니다.
가죽나무의 엽흔에 관속흔이 5개이면 참죽나무이고, 관속흔이 7~10개이면 가죽나무입니다.
▒ 살구의 아린은 겨울을 나기 위해 물을 80% 채우고 나머지 20%는 당분으로 채웁니다.
뺀 물 20%는 가운데를 채우며 추위에 얼은 얼음은 보온 작용을 해줍니다.
▒ 전나무는 잎이 뾰족하고 구상나무는 잎 끝이 둥글지요.
▒ 가막사리 잎에는 가지가 있으나 들꿩나무 잎에는 가지가 없이 붙어있고 탁엽이 있습니다.
▒ 측백나무 잎은 가지 끝에 달려 있습니다.
서양측백나무는 열매가 위로 열리며 잎은 가지에 바짝 붙어 있습니다.
▒ 돌소리쟁이는 가지 쪽 잎이 V자이며 소리쟁이는 아무것도 없이 길쭉합니다.
▒ 검정말은 식용 할 수 있습니다.
▒ 세로티나 벚나무
철쭉은 반상록이어서 잎이 떨어지지만, 연산홍은 상록이어서 잎이 떨어지지 않는다.
'구역 > 국립현충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감이 즐거운 달마사에서 이어지는 현충원 길 (0) | 2025.04.16 |
---|---|
시시각각 현충원 속 자연과의 만남 (0) | 2025.03.27 |
살아 있다 (1) | 2023.12.11 |
11월의 개나리꽃 (1) | 2023.11.18 |
개나리 곰딸기 미국자리공 (0) | 2023.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