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역(86)
-
서강나루 최고의 일꾼, 돌쇠의 꿈
나라에서 세금으로 거둬들인 쌀이 전국에서 모여드는 서강나루. 물 때가 되어 거상들의 배가 하나둘 모습을 드러내면 돌쇠를 비롯한 이곳 서강나루의 일꾼들도 팔을 걷어붙이고 부두에 모여든다. 돌쇠는 배에서 내린 쌀을 근처 창고로 옮기는 하역 일꾼이다. 일 잘하기로 소보다 낫다는 서강나루 일꾼들, 그중에도 돌쇠는 서강 최고의 장사다. 안 그래도 품삯을 가장 많이 받아 가는 돌쇠가 요 며칠 쌀짐을 지고 나르는 속도가 더 빨라졌다. 그뿐인가. 평소 무뚝뚝하기가 바윗돌 같던 놈이 혼자 이유 없이 히죽대는 것이 분명 무슨 일이 생긴 게 틀림없다. 그렇게 무리하다 몸 상한다며 쉬엄쉬엄하라는 걱정 반, 시기 반의 충고도 돌쇠의 귀에는 들어오지 않았다. 바로 사흘 전, 돌쇠 내외가 그토록 기다리던 아이가 아내의 뱃속에 들어..
2022.05.28 -
해당화 증산국수나무 홍자단
5월 11일 2코스 개사상자 - 꽃이 오목하다 벌사상자 - 꽃이 편평하다 재쑥 - 사상자에 노랑꽃이 핀다 붓꽃과는 꽃받침이 없다. 노랑꽃창포의 꽃잎은 6개 외화피(바깥 꽃잎) 3개 내화피 (안의 꽃잎 )3개 암술 3개 암술 뒤의 숨은 수술 3개 말똥비름 산괭이사초 - 수염1개 애괭이사초 - 수염 0개 괭이사초 - 수염 3개 잎에 톱니가 3/1이면 팽나무 잎에 톱니가 3/2이면 풍개나무 살갈퀴 + 새완두 = 얼치기완두 해당화 덜꿩나무 증산국수나무 홍자단 서양벌노랑이
2022.05.28 -
여의도문화 역사
여의도공원 터의 100년 역사는 크게 보아 비행장 시대와 광장 시대 그리고 공원 시대로 나눌 수 있다. 대규모 집회와 시위로 들끓었던 광장에는 이제 제법 울창해진 소나무와 참나무, 작살나무 숲 사이로 괴불나무와 보리수, 산사나무가 붉고 앙증맞은 열매들을 매달고 있다. 10년 넘게 가꿔온 ‘한국 전통의 숲’에는 꾀꼬리와 오색딱따구리가 찾아오고 물벼룩이 사는 생태 연못에는 해오라기와 원앙이 노닌다. 아스팔트를 걷어내고 공들여 만든 공원에는 자연이 깃들었다
2022.05.28 -
여의도 명소
여의도 샛강 「여의 못」 (생태 연못) 위치 : 여의도 샛강 특징 : 참붕어, 자라, 잉어 등 수생어종과 두루미, 황조롱이 등 조류 서식처, 수생식물과 수생곤충의 자연적인 변이과정을 관찰 가능. 이용시기 : 봄, 여름, 가을 특기사항 : 봄의 벚꽃축제, 가을 세계불꽃축제 등 다양한 공연과 문화행사가 개최되는 가족나들이 명소 여의도 샛강 「수질정화원 (야생초 화원)」 위치 : 여의도 샛강 특징 : 하천, 습지, 초지, 물 웅덩이 등 생태자원 학습지, 야생초화를 즐길 수 있는 가족 탐방코스. 이용시기 : 봄, 여름, 가을 특기사항 : 봄의 벚꽃축제, 가을 세계불꽃축제 등 다양한 공연과 문화행사가 개최되는 가족나들이 명소. 밤섬 생태보전지역 위치 : 밤섬 특징 : 275,503㎡의 철새도래지, (매년 70여종..
2022.05.28 -
한강 방생
방생은 이렇게 한강을 아끼고 사랑해 주시는 시민여러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우리 한강은 시민여러분의 따뜻한 마음과 환경보호의 지속적인 노력으로 수생 동물의 서식환경이 개선되어 생명이 살아 숨쉬는 깨끗한 강으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그러나 방생의 진정한 의미는 생명존중에 있음에도 일부 시민들이 법에 의해 방류가 금지된 황소개구리, 붉은 귀거북(청거북), 블루길(파랑볼우럭), 큰입배스 등 외래품종과 한강에서 서식이 어려운 어종을 무분별하게 방생하는 경우가 있어 생태계 파괴 등이 우려되고 있습니다. 생태계 교란 수생동물을 방생할 경우 토종 물고기를 마구 잡아먹는 등 자연 환경 및 생태계를 교란시키고 우리 고유어종이 안전하게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잃게 되므로 시민여러분께 다음 사항을 당부 드리오니 적극적인..
2022.05.28 -
한강의 발원지
임진강하류역 경기 북부에 위치하고 있는 연장 254.6km, 유역면적 8,117㎢인 임진강은 마식령에서 발원하여 경기도 연천군에서 한탄강과 합류해 흘러내려 오다가 신천 ·문산천과 개성시를 관류하는 설계천을 합류해 큰 강이 되어 김포반도의 북안에서 한강 하류로 유입한다. 한강 연안에 펼쳐진 넓은 들은 하구로 갈수록 넓어지는데 그 서쪽에 김포평야가 펼쳐져 있다. 그리고 경기 북부지역을 흘러 서해안으로 들어가는 예성강과 임진강의 언저리에는 경기평야가 펼쳐져 있다. 김포군·개풍군·장단군과 파주시·고양시·개성시가 이에 속하나 개성시와 개풍군·장단군의 대부분은 휴전선 이북에 속한다. 이 지역은 한강·임진강·예성강 하구의 지역이고 수상교통이 편리하여 각종 산업활동이 활발한 곳이었으나 휴전선 관계로 지역개발에 제한을 ..
2022.05.28 -
한강의 옛이름, 군사활동, 시대별
한사군과 삼국시대 초기의 한강은 한반도의 중간 허리부분을 띠처럼 둘렀다는 뜻에서 '대수' 라 불렀고, 고구려에서는 '아리수' 라 했으며, 백제는 '욱리하' 라고 했다. 또 신라는 상류를 '이하', 하류를 '왕봉하' 라고 불렀다. 한편 '삼국사기' '신라편' 지리지에는 한강을 '한산하' 또는 '북독' 이라고도 했다. 고려때는 큰 물줄기가 맑고 밝게 뻗어내리는 긴 강이란 뜻으로 '열수' 라고 불렀으며, 모래가 많아 '사평도' 또는 '사리진' 이라고도 불렀다. 조선시대에는 '경강' 이라고도 불렀으며 그 이전에 백제가 동진과 교통하여 중국문화를 받아들이기 시작하면서 한강의 이름을 중국식으로 고쳐서 '한수'라 불렀고, 그 뒤부터 옛이름은 차츰 사라지고 '한수' 또는 '한강' 이라고만 불리어졌다. 한편 한강은 본래..
2022.05.28 -
한강의 문화유적
1. 행주산성 2. 약사사 3. 공암진 4. 염창터 5. 망원정 6. 양화진 7. 절두산 순교성지 8. 외국인묘지 9. 광흥창터 10. 공민왕신당 11. 밤섬 12. 토정터 13. 새남터 순교성지 14. 사육신묘 15. 노량진 나루터 16. 이태원터 17. 동빙고터 18. 잠실 뽕나무밭터 19. 제천정터 20. 한강진 나루터 21. 천일정터 22. 독서당터 23. 압구정터 24. 입석포 25. 저자도 26. 살곶이 다리 27. 뚝섬 나루터 28. 낙천청 29. 봉은사 30. 송파 나루터 31. 석촌동 백제초기 적석총 32. 삼전도비 33. 몽촌토성 34. 풍납토성 35. 광진(광나루터) 36. 암사동 선사주거지 37. 아차산성 38. 평화의공원 39. 국립중앙박물관 40. 국립현충원 1. 행주산성임진왜란..
2022.05.28 -
한강의 역사를 찾아서(한강 역사탐방)
제1코스: 경강의 시작, “광나루길” (소요시간: 2시간 30분) ① 광나루한강공원(안내센터) → ② 광진교8번가 1.0㎞ → ③ 광나루터 1.4㎞ → ④ 아차산 고구려역사문화홍보관 1.4㎞ → ⑤ 아차산성 광진교8번가 : 광진교부터 광진정보화도서관, 광나루터를 잇는 광나루 낭만의 거리는 아름다운 한강을 조망할 수 있고, 광진교8번가는 세계적으로 3개밖에 존재하지 않는 교각아래에 있는 전망대로 차도와 자전거도로, 인도가 잘 갖추어져 있다. 마술공연, 로큰롤, 재즈콘서트를 관람할 수 있고 한강의 아름다운 야경을 볼 수 있다. 광나루터 : 광나루는 한강의 중하류에 위치하여 교통 상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백제가 북방 민족과 대치하면서 광나루는 군사 작전의 요충지였고 선진 문화를 수용하기 위한 외교 ..
2022.05.28 -
여의도 샛강의 생태
말조개
2022.05.28 -
여의도 샛강생태공원 2022.05.28
-
샛강의 담수 어류
곱게 차려 입은 새색시처럼 예쁘고 화려해서 "각시붕어"라고 합니다. 몸 색깔이 알록달록 고와서 "꽃붕어"라고도 합니다. 우리나라에만 사는 고유종입니다. 눈이 큽니다. "눈검쟁이"라고도 하며 피라미보다 눈이 훨씬 크고 몸통에 검고 굵은 줄이 또렷하게 있습니다. 비가 와서 냇물이 불어나 물살이 세지면 몸이 납작해서 떠내려가기 때문에 물풀 속으로 숨습니다. 눈이크다고 "눈치"라고 합니다. 주둥이가 툭 튀어 나왔고 입이 크고 입술이 두껍습니다. 돌이 많은 곳에서 살아서 "돌고기"라고 합니다. 꺽지가 알을 낳으면 그 자이에 알을 낳고 도망 갑니다. 꺽지가 자기 알을 보호할때 돌고기 알도 보호를 받는데 돌고기 알은 꺽지 알보다 먼저 깨어납니다. 입이 크고 입가에 아주 긴 수염이 두 쌍 있습니다. 물 위로 올라와 공..
2022.05.28